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607

Chapter 06. DVD와 DivX Chapter 06. DVD와 DivX 1. DVD와 DivX DivX가 처음 선보였을 당시에 많은 유저들이 DVD와 혼동을 일으키는 웃지 못할 상황이 있었습니다. 그만큼 기존의 VCD에서는 상상할 수 없었던 화질을 보여주었기 때문입니다. 지금도 DivX를 DVD와 동일시하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는데, 이는 엄청난 착각입니다. DivX 동영상의 화질은 인코딩시 사용한 프로그램이나 작업 방법 등에 따라 달라지기도 하지만, 근본적으로 원본 화질에 가장 큰 영향을 받습니다. 본래 DivX는 동영상을 다루는 코덱일 뿐이므로, 여러 가지 형태의 동영상을 원본으로해서 작업이 가능합니다. 대부분의 DivX들이 화질이 좋은 것은 원본이 화질 좋은 DVD이기 때문이며, 만약 원본이 화질이 좋지 않은 경우라면 DivX코.. 2009. 3. 18.
Chapter 05. 오디오(Audio) Chapter 05. 오디오(Audio) 1. 오디오의 형식 1) AC3 (돌비 디지탈) DVD의 표준 사운드 형식으로 2채널(좌/우) 또는 5.1채널(전방 좌/우/센터, 후방 좌/우, 우퍼)을 기본으로 합니다. DivX 동영상에서는 이런 AC3 파일을 2채널 스테레오 형태인 MP3 파일로 다운믹스해서 용량을 줄이는 방법을 사용해 왔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사운드 부분을 강화하려는 경향 때문에 AC3 파일을 그대로 DivX 동영상에 적용하는 방법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AC3 파일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당연히 음질이 좋겠지만, AC3 파일의 5.1채널 분리를 제대로 감상하기 위해서는 5.1채널 디지탈 사운드를 재생할 수 있는 사운드카드와 스피커 시스템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런 시스템을 갖추지 않은 대부분.. 2009. 3. 18.
Chapter 04. DivX 인코딩과 Deinterlacing / IVTC Chapter 04. DivX 인코딩과 Deinterlacing / IVTC ♣ 앞에서는 DVD의 일반적인 제작/재생 과정에서의 Telecine, Deinterlacing, IVTC 등에 대해 다루었다면, 지금부터는 DivX 인코딩 작업에서의 Deinterlacing과 IVTC에 대한 기본 원리를 설명합니다. ♣ 1. IVTC와 Deinterlacing 중에서 어떤 것을 선택하는가? 동영상은 다양한 원본을 이용해 만들어질 수 있습니다. DivX인코딩시 소스로 주로 사용되는 DVD도 그 형식이나 DVD제작시 사용된 소스 및 제작 방식이 천차 만별입니다. 본래는 영화 필름을 원본으로해서 Progressive 방식으로 제작되어야 정상이겠으나, 국내에 유통되는 DVD들 중에는 원본이 도대체 무엇인지조차 가늠하기.. 2009. 3. 18.
Chapter 03. Telecine & IVTC Chapter 03. Telecine & IVTC ♣ 이 부분의 내용은 매우 복잡하게 생각되실 수도 있습니다만, 그리 복잡한 것은 아닙니다. 또한, 이 부분의 이해가 선행되지 않고는 깨끗한 동영상을 만들어내기 어렵습니다. ♣ 1. 개요 1) Telecine 영화 필름을 VHS, VCD, DVD 등의 매체용 동영상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Telecine 라고 합니다. 보통 Telecine 라고 하면 24 fps 인 영화 영상을 30 fps(29.97 fps)로 프레임수를 늘리는 것을 지칭하는 말로 사용되고도 있으나, 엄밀하게는 프레임수를 늘리는 것을 뜻하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우리나라나 미국에서 사용되는 NTSC방식의 표준 프레임수가 30 fps 이기 때문에 영화의 24 fps 와는 맞지 않고, 따라서 .. 2009. 3. 18.
Chapter 02. 동영상의 압축원리 Chapter 02. 동영상의 압축원리 1. 압축방식 동영상도 어차피 "연속적인 그림"이라고 볼 수 있는데, 이를 압축하지 않는다면 1분 정도의 동영상을 저장하면 그 용량이 1GB 정도가 될 것입니다. 따라서, 동영상은 필수적으로 압축과정을 거칠 수 밖에 없습니다. 1) 비손실 압축과 손실 압축 압축방식에는 비손실 압축과 손실 압축이 있습니다. 비손실 압축이란,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등의 압축에 사용되는 zip, rar 등등의 압축방식이 있으며 원본 그대로를 압축하기 때문에 압축을 풀면 원본에서 전혀 손상되지 않은 데이터를 그대로 복원하게 됩니다. 손실 압축이란 압축되지 않은 그림 파일인 BMP파일을 JPG로 압축하는 경우를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이런 형태의 압축은 원본의 일부분을 변경하는 식으로 압축이 .. 2009. 3. 18.
Chapter 01. 프레임(Frame) Chapter 01. 프레임(Frame) 1. 프레임(frame)이란? 동영상의 기본이 되는 영화를 기준으로 생각해 보면, 영화 영상은 결국 필름에 연속적으로 찍힌 한 장 한 장의 사진을 일정한 속도로 돌려가면서 영사해 움직이는 영상을 만들어 내는 것입니다. 이 때 한 장 한 장의 사진을 본다면 당연히 정지된 상태일 것입니다. 이렇게 동영상을 구성하고 있는 정지된 화면 하나 하나를 프레임이라고 합니다. 2.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 정해진 시간 동안에 몇 프레임을 보여주느냐 하는 것을 frame rate라고 하는 데 대체로 fps(frame per second; 초당 프레임수)로 표시하며, 이는 동영상 매체별로 다릅니다. 영화의 경우 24fps이며, 우리나라나 미국의 표준방식인 NTSC방식의 .. 2009. 3. 18.
728x90
반응형